분류 전체보기 (283)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 8 - java bean A> 자바빈이란 자바로 작성된 컴포넌트 jsp 중에서 로직만 별도의 자바코드로 작성함 데이터만 저장하는 객체(데이터 객체= data object) value object 라고도 한다. 혹은 value transfer object = VTO 라고도 한다. 자바빈의 사용이유 디자인 부분과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 그럼 재사용성이 증가한다. 코드도 줄어들음 B>설계 규약 1. getter ,setter 존재 2. getter 에는 파라미터가 없다. 3. 생성자도 기본 생성자 4. setter 에는 파라미터가 있다. 5. 컴포넌트의 속성은 읽기 ,쓰기 가능해야 됨 --만약 읽기 전용이라면 메소드만 정의 가능 6. 멤버 변수 접근자는 private 클래스와 getter , setter 접근자는 public이다... jsp 7 - 여러가지 태그 A>액션 태그 1.forward 액션 태그 pageonContext 의 내장 객체의 forward() 가 태그로 구현된 것이다. 형태 파라미터도 넘길때 이렇게도 된다. 2. include 액션 태그 형태 -- forward와 include 이외의 부분은 동일 3.태그를 만드는 태그 태그를 생성한다. 형태 --태그의 이름 --태그 속성을 만듦 속성의 값 --만들어지는 태그요소 값3 실행 결과는 값3 이런 태그를 만들어 진다. jsp-6 내장객체 A>종류 request :http의 요청 정보 response : http요청에 대한 응답정보 session: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 pageContext: pageContext 를 저장한 객체 out: 응답 페이지 전송을 위한 출력 스트림 applicatoin: application context 정보를 저장한 객체 config: 해당 페이지의 서블릿 설정 정보 저장 객체 page: 해당 페이지 서블릿 객체 exception: 예외 처리를 위한 객체 1.request의 메소드 - getParameter(String name) -getParameterValues(String name) : 주로 checkbox에 이용 ,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개의 값을 뽑아낼 때 -getParameterNames() : 요.. jsp5 - 지시어와 태그 A.종류 1.기본 지시어의 형태 2.page 지시어 3.include 지시어 공통되는 부분을 따로 파일로 만듦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nsert title here includeTest.jsp입니다.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4.taglib 지시어 JSTL이나 커스텀 태그 등 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접두사 지정에 사용한다. uri속성과 prefix 속성이 있음 5.스트립트 요소 jsp내에서 자바 코드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 선언문 ,스크립틀릿, 표현식 으로 3가지로 구분 ㄱ. 선언문 ㄴ.스크립틀릿 ㄷ.표현식 선언문 혹은 스크립틀릿에서 선언된 것들을 출력할때 사용 jsp4 - session A>session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이 연결되게 해주는 것이다.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은 연결 상태를 보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용하는게 session이다 클라이언트를 인식할수 있게 서버는 request에 대한 response를 할 시 response와 함께 session id 를 클라이언트에 발급을 한다. 클라이언트는 이 session id 를 자신의 로컬 컴퓨터의 cookie에 넣어 보관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다음에 request 를 서버로 보낼때 서버는 session id를 판별하고 같은 session 레퍼런스를 반환한다. B>영역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범위이다.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session은 사라진다. C>예시 session HttpSession session = request.. jsp4 -한글처리 jsp3 - form 처리 서블릿에서 하나에 값이 들어오는 경우 String getParameter(파라미터 이름) 을 쓴다. 체크박스와 같은 여러개의 값이 들어오는 경우 String[] getParameterValues(파라미터 이름) 을 쓴다. jsp2 -서블릿 소개 A>경로(request path ) request path = 크롬에서 도메인입력창에 입력하는 요청 이클립스 기준 추가 설정을 안했을 때 localhost/프로젝트명 이름/jsp 파일 일때 프로젝트 이름 은 이클립스 상 WebContent이다. WebContent에 하위 디렉토리가 있으면 localhost/프로젝트명 이름/하위 디렉 토리/jsp 파일 이 된다. B>서블릿 요청 방식 주로 쓰는 건 크게 두가지 get 과 post 방식이다. (http 프로토콜은 이 외에도 종류는 많다.) C> form 태그와 request pattern form 태그의 action 속성을 request pattern 이라고 한다. 만약 get방식으로 요청을 한다면 도메인창에서 action속성값?a=a&b=b 이런식의 패턴이..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