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공부/리눅스

리눅스 연습하기 --7.네트워크 관리 , 다운로드 , 파일시스템

1.다운로드

1-1. wget 

웹상에서 받아올때이다. 

 

1-2. yum 

패키지 매니저이다. 

a>list

다운 가능한 리스트를 가지고 온다.

예시로 자바를 받고자 할 때 다운 가능한 리스트 불러오기

yum list java*jdk-devel  

 

1-3.rpm

Redhat Package Manager 이다.

 

 

2.네트워크 관리

2-1. ping [옵션] 호스트

네트워크가 현재 동작 중인지 확인

ctrl + c 로 핑 받는 것을 그만 확인 할 수 있다.

a> -s : 패킷 사이즈 지정(=Size)

b> -q : 종합 결과만 보여준다. 

c> -i : 지연시간 설정

d> -c : 보낼 패킷 수를 지정한다.

 

2-2. nslookup [도메인]

도메인 네임서버에 질의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도메인 이름의 호스트 ip를 검색 할 수 있고

네임서버의 작동 여부도 확인 가능하다.

> 에서 빠져나가려면 exit을 치면 된다.

 

2-3. ifconfig

현재 ip 정보 확인

윈도우의 ipconfig와 같다

만약 명령어가 되지 않는다면 

yum install net-tools 를 한번 해보자

 

2-4.  hostname

호스트이름 확인하기

2-4-1. 호스트 이름 변경하기

루트 계정의 vi /etc/hostname 으로 바꿀 수 있다.

 

2-5. netstat

네트워크의 연결상태, 라우팅 테이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 -r : 라우팅 테이블

b> -a : 연결된 모든 소켓 출력

c> -n : 호스트와 포트 정보를 숫자로 표시(=Nubmer)

d> -p : 현재 소켓을 열고 있는 프로세스 아이디 출력 (= Pid)

e> -t : tcp 연결에 대한 소켓을 출력한다.

f> -u : udp 연결에 대한 소켓을 출력한다.

 

 

 

3.파일시스템

윈도우의 파일시스템은 FAT32 , NTFS 등이 있다.

여러 저장 장치를 사용할때

윈도우는 루트 식별을 하기위해  분리형 루트 방식을 사용한다.

예시로 C 드라이브와 D드라이브가 있으면 루트가 각각의 장치에 존재한다.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은 EXT2 , EXT3 등이 있다.

여러 저장 장치를 사용할때 리눅스는 루트 식별을 하기위해 

통합형 파일 시스템 방식을 사용한다.

윈도우의 예시와 다르게 리눅스는 장치에 상관없이 루트가 하나이다.

 

리눅스는 모든 주변 장치(디스크 ,터미널, 네트워크 카드 등) 들을 다 파일로 취급한다.

리눅스는 디바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 가상 파일시스템을 사용한다.

 

주요한 특수 파일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a>procfs 

커널 및 커널 모듈(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보 , 설정 변경을 위한 파일

/proc 파일에 있다.

b> sysfs

시스템에 접속된 디바이스 정보 확인, 설정 변경을 위한 파일

/sys 에 있다.

c> devfs

물리 디바이스에 접근 하기 위한 파일

/dev 에 있다.

          

루트에서 ls -al 을 하면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을 확인 할 수 있을텐데

그냥 막 생성한게 아니라 FHS(Filesystem Hieracrchy Standard) 를 준수해 

만든것이다. 

 

3-1 .구조

a> /bin

binary 의 약자이며 , 시스템 관리자, 사용자가 사용할 명령어가 들어있다.

b> /sbin

루트유저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다. 

주로 시스템 레벨의 명령어들이다. 때문에 보안에 신경을 써야한다.

c> /boot

부트로더와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다.

d> /home

사용자들의 홈 디렉도리가 하위 디렉토리로 존재한다.

e> /dev

디바이스 파일들이 있다.  시스템의 모든 장치들이 파일로 표시되어 있다.

udev 라는 데몬이 이들을 관리한다.

f> /etc

시스템 혹은 각종 프로그램들의 환경설정들이 있다. 

시스템 관리에서는 이곳들의 파일을 주로 수정한다.

때문에 백업을 해 놓는게 좋다.

g> /lib

프로그램 실행시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들이 있다.

h> /mnt

마운트를 위한 임시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cd 나 usb 같은 이동 디스크가 마운트될 때 사용된다. 

i> /root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이다. root만 접근 가능하다.

j> /var

log 등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파일들이 위치한다.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파일들도 있기 때문에

수정과 삭제에 주의해야 한다.

k> /proc 

실행중인 프로세스 정보와 cpu,  메모리등의 정보가 가상 파일로 되어있다.

대부분 읽기파일이고 쓰기가 되는 파일로 커널의 기능을 변경 할 수 있다.

 

3-2.프로세스

3-2-1. 프로세스의 상태

생성 -> 준비 <=> 실행 -> 종료

             ↑       ↓

              |_____  대기

3-2-2 .프로세스 용어

pid : process id 

tty : 어느 터미널에서 실행되고 있는지

 

3-3 .pstree 

pstree 는 트리형식으로 process구조를 보여준다.

a> -p :프로세스명 + pid

b> -n : pid 순선

 

3-4. top

프로세스의 cpu, memory, 사용량등 전반적 상황 모니터링

a> -d 시간 :화면 갱신 시간 설정

b> -c : 명령행 전체를 보여준다.

c> -q :화면을 계속 갱신한다.

 

3-5. kill

지정한 프로세스에 시그널(명령)을 보낸다.

주로 프로세스를 죽이는데 쓴다.

a> -i : 시그널 목록을 보여준다.

b> -c : 명령행 전체를 보여준다.

c>  -q : 화면을 계속 갱신한다.

d> 시그널 종류: 1 = 어플리케이션 재 초기화

                     3 = quit 어플리케이션에 정상 종료하라고 알림

                     6 =  중단됨을 알리며 곧 닫힘

                     9 = 강제 종료

 

3-6 free

시스템의 메모리 정보를 출력한다.